참 어려운 시기입니다. 어려운 시기가 아닌적이 있었던가? 물어보면 할 말이 없어지는데 코로나가 지나고 그동안 풀어놓았던 돈들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금리인상은 서민들과 기업들을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이제 정부에서 엔데믹을 선포한 지금 이 시기는 정말로 어려운 시기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코로나를 겪을땐 그때가 제일 힘들었는데 이제 끝나고 나니 후유증이 장난이 아닙니다. 비대면 생활로 인하여 삶의 많은 부분도 바뀌었고 생전 듣도보도 못한 챗GPT라는 이름으로 AI라는 녀석이 갑자기 짠 하고 나타나기도 하고, 갑자기 미래가 현실로 다가와있는 느낌입니다. 앞으로는 어떻게 살아야 미래에 내가 현재를 봤을 때 후회없이 잘 살았다 느낄지 많이 고민이 됩니다. 현실로 다가온 미래를 잘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해봅니다. 이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정부에서 직원을 채용하면 지원금을 주는 제도를 마련했다고 하는데 그 내용에 대하여 알아볼까 합니다.
1. 청년일자리도약 장려금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청년(만 34세 이하)을 채용한 경우 지원해주는 지원금으로 2년간 최대 1200만원을 지원합니다. 그동안 정부에서 많은 돈을 풀었지만 채용과 취직에 도움이 되는 이번 지원은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청년창업기업(만39세이하로 개업 7년 이내) 또는, 지식기반, 문화컨텐츠 산업 등 규정에 정한 업종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장부터 지원 신청이 가능해 많은 기업이 해당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신청 자격요건
다음에 나오는 해당 사업장의 요건과 청년의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ㄱ. 사업장 요건
● 신청일 기준 직전연도 1년 평균 근로자수가 5인 이상인 사업장
● 단, 청년창업기업, 성장유망업종, 지식기반, 문화컨텐츠산업, 미래유망기업 등은 근로자수가 1인 이상
● 2023년 청년을 채용 후 6개월 이상 유지한 사업장
ㄴ. 청년 조건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사업장 소재지를 담당하는 운영 기관에 신청 가능합니다.
2. 기타 직원 채용관련 지원금
구분 | 지원대상 | 지원금액 |
지역 일자리 지원사업 | 특정 사업분야 지자체 지원(청년 고용 등) | 인건비(200만원 내외) 2년 지원 |
고용촉진장려금 | 고용노동부 취업지원 프로그램 이수자, 여성 가장 등 | 월 60만원 1~2년 지원 |
시니어 인턴 지원금 | 60세 이상 인턴 채용 후 고용 시 | 인턴(월 40만원)이후 고용 시 최대 540만원 |
3. 국민연금, 고용보험 두루누리 지원금
두루누리 지원사업은 4대보험료 중 국민연금, 고용보험을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1) 지원대상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사업장의 근로자 중 월평균 보수가 260만원 미만인 신규가입근로자와 그 사업주
※ 신규가입자 : 지원신청일 직전 6개월 간 4대보험 취득 이력이 없는 자
(2) 지원 수준 및 지원기간
국민연금과 고용보험료의 80%를 최대 36개월간 지원합니다.
(3) 지원신청 및 지원방법
사업장의 근로자 4대보험 취득신고를 할 때 두루누리 지원신청을 함께 할 수 있으며 고지되는 월별 보험료에서 지원금을 뺀 금액을 고지하는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4. 서울시 소상공인 버팀목 고용장려금
서울시에 주소를 둔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채용하면 1인당 최대 3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지원금 관련 기본개요
● 대상 : 서울시 소재 소상공인
● 조건 : 23년 신규인력 채용 후 3개월 이후 (고용보험 가입 필수)
● 지원금 : 근로자 1인당 300만원씩 최대 10명
● 접수처 : 사업장 소재지 자치구
자세한 내용과 필요서류는 [서울시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위기가 기회라는 말이 있지요. 어려운 시기는 누군가에게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상황은 똑같이 주어졌지만 누군가는 이 어려움을 기회로 만들기도 하고 누군가는 더 어려워지기도 하겠지요. 이 글을 보는 모든 분들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을 유용하게 사용해서 기회로 만들면 좋겠습니다.
'알기쉬운 세금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수당으로 우리 아이 목돈 만들어주기 (0) | 2023.05.30 |
---|---|
40세 이상 중장년 지원정책 (0) | 2023.05.22 |
종교단체 및 비영리단체의 기부금은 어떻게 관리 작성해야할까? (0) | 2023.05.15 |
개인 사업자의 증빙관리 (0) | 2023.05.03 |
5월엔 종합소득세 신고 (0) | 2023.05.01 |
댓글